봄철 에어컨 자가점검 방법 알아보기


유난히 더울 거란 예보가 들려오는 요즘, 에어컨 점검은 남일이 아닙니다.

리모컨을 눌렀는데 반응이 없다면? 미지근한 바람만 나온다면?
무더위 속에서 그제야 고장이란 걸 깨닫고 당황하게 되는데요.

 

그런데 이 모든 상황은 미리 한 번만 점검했더라면 막을 수 있었던 문제입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에어컨 자가점검 방법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한 발짝만 먼저 준비하면 올여름은 더 시원하고, 더 여유로울 수 있어요!
여름이 본격화되기 전, 바로 지금이 점검의 '황금 타이밍'입니다.

2025년 여름을 준비하기에 앞서  삼성, LG, 캐리어에서 무상 안전점검 신청을 받고 있다고 하니, 이것도 살펴보면 좋겠죠?

 

 

✅ 에어컨 자가점검 체크리스트 (꼭 체크해보세요!)

  • 전원 콘센트와 차단기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멀티탭이 아닌 단독 콘센트 사용 여부
  • 리모컨 건전지 및 버튼 작동 상태 확인
  • 필터 오염 확인 및 청소 또는 교체
  • 실외기 주변 정리 및 통풍 상태 확인
  • 배수 호스 꺾임/막힘 여부 확인
  • 냉방 모드로 최소 20분 이상 시험 가동

전원 연결 상태 먼저 확인해볼까요?


이걸 왜 확인해야 하죠?

에어컨이 작동하지 않을 때, 의외로 콘센트나 차단기 문제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인 전원 상태부터 점검하면 불필요한 A/S 요청도 줄일 수 있어요.

  • 단독 콘센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 멀티탭은 사용하지 않는 게 안전합니다.
  • 누전차단기(두꺼비집)가 내려가 있지 않은지 체크!

에어컨에 멀티탭을 쓰면 안 되는 이유

에어컨은 전력을 많이 소모하는 전자제품이에요.
멀티탭에 다른 가전과 함께 연결하면 전류가 몰리면서 과열이나 합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멀티탭은 내부 부식, 접촉 불량 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커져요.

‘고출력용 멀티탭이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제조사 권장사항은 벽면 콘센트 직결입니다.

쉽게 말해 에어컨은 전기 많이 먹는 ‘대식가’라서, 혼자 밥상을 차려줘야 안전한 거예요 😊

리모컨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왜 체크해야 할까요?

에어컨 본체 고장처럼 보이는 문제도, 알고 보면 단순한 리모컨 건전지 때문일 수 있어요.
정작 리모컨만 새로 교체하면 바로 작동하는 경우도 꽤 많답니다.

  • 버튼을 눌렀을 때 불빛이 들어오는지 확인
  • 작동이 느리거나 응답이 불규칙하면 새 건전지로 교체
  • 건전지 단자에 녹슬거나 먼지가 쌓여있지 않은지 체크

이처럼 간단한 점검만으로도 불필요한 기사 요청을 줄일 수 있어요.

필터 청소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왜 꼭 청소해야 할까요?

먼지로 막힌 필터는 냉방 효율을 떨어뜨리고, 전력 소모를 늘립니다.
바람이 약하거나 냄새가 날 경우 필터부터 점검하세요.

  • 전면 커버를 열고 먼지 필터를 조심스럽게 분리
  • 미지근한 물로 깨끗이 헹군 후 완전히 건조
  • 찌든 때나 곰팡이엔 중성세제를 활용
  • 2개월에 1회 점검하면 위생과 성능 유지에 효과적

청소만 잘해도 바람 세기, 냉방 속도, 전기요금까지 달라집니다.
필터는 에어컨의 폐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쉬워요 😊

실외기 상태는 의외로 중요한 부분이에요


왜 실외기를 봐야 하죠?

실외기는 에어컨 열기를 바깥으로 뿜어내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하지만 주변에 장애물이 많거나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냉방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 실외기 주변에 물건이 쌓여 있진 않은지 정리
  • 벽과 실외기 사이에는 10cm 이상 간격을 확보
  • 먼지, 비닐, 낙엽 등이 붙어 있다면 청소로 제거

‘밖에 있는 장치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금물!
실외기 점검이 바로 냉방력 점검입니다.

배수 호스 막힘은 누수로 이어질 수 있어요

왜 중요할까요?

에어컨 내부에서 나온 물은 배수 호스를 통해 배출돼요.
그런데 이 호스가 막히거나 꺾이면 실내에서 물이 떨어지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요.

  • 호스가 꺾이지 않았는지 확인
  •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졌는지 체크
  • 출구에 먼지나 벌레 등이 막고 있지 않은지 확인

눈에 잘 안 보이는 부분이지만,
누수를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마지막! 시험 가동은 필수입니다


왜 꼭 틀어봐야 할까요?

겉보기엔 멀쩡해도, 작동 중에만 나타나는 문제도 있어요.
미리 시험 가동해 보면 고장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답니다.

  • 냉방 모드 설정 후 최소 20분 이상 작동시켜보기
  • 시원한 바람이 나오는지, 소음·진동은 없는지 확인
  • 냉기 약함 → 냉매 부족 or 실외기 문제일 가능성 있음

성수기엔 기사님 방문만 해도 수일씩 걸릴 수 있어요.
지금 미리 점검하면 시간도, 비용도 아낄 수 있어요!

에어컨 점검, 지금 해야 하는 이유는?


에어컨 고장은 갑자기 찾아오지만,
점검은 지금처럼 기온이 오르기 시작할 무렵에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성수기인 한여름엔 A/S 수요가 몰리다 보니
점검 받는 데 며칠, 부품 기다리는데 며칠씩 걸릴 수도 있어요.

봄철은 시간적 여유가 있고, 서비스 인력도 상대적으로 넉넉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지금 점검하면, 여름은 그냥 ‘켜기만 하면 되는 시즌’이 됩니다.

‘한발 앞선 준비’는 늘 가장 큰 여유를 만들어줍니다.
이번 여름도 똑똑하게 시작해보세요.

정리하며: 자가점검은 어렵지 않아요

지금까지 살펴본 항목들만 체크해도 에어컨 고장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성능 저하 없이 올여름을 보낼 수 있어요.

자가점검 + 무상 안전점검 캠페인을 함께 활용하면,
전문가의 진단까지 더해져 더 완벽한 준비가 됩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