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 얻는 법, 정책 위반 피하기

챗GPT에서 이미지 생성 기능을 사용할 때, 원하는 스타일로 이미지가 잘 나오지 않거나 "콘텐츠 정책 위반" 메시지로 생성이 차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특히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적용하고자 할 때는 프롬프트 구성의 차이만으로도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애니메이션 및 캐릭터 스타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롬프트 작성법과, 자동 필터링 시스템에 걸리지 않는 전략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챗gpt 바로가기

챗gpt 앱 다운로드(안드로이드)

챗gpt 앱 다운로드(아이폰)

스타일별 특징과 활용 정리

스타일 주요 특징 추천 대상 주의할 표현
짱구 스타일 단순한 도형, 굵은 선, 유쾌한 표정 동물, 아이 캐릭터, 마스코트 '짱구' 단어 직접 언급 대신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 사용
픽사 스타일 3D 입체감, 부드러운 질감, 감성적 눈빛 인물, 반려동물, 마스코트 작품명 직접 언급 피하기 (예: 토이스토리 등)
신카이 마코토 스타일 극사실적 하늘, 빛의 반사, 감정 중심 풍경, 밤하늘, 정적인 장면 '너의 이름은' 등 구체적 제목은 사용 금지
심슨 스타일 노란 피부, 단순 선, 미국식 코믹한 비율 가족사진, 캐리커처 '심슨' 직접 언급보단 '미국 만화 스타일' 사용
고전 디즈니 스타일 동화풍, 곡선 위주, 수채화 채색 공주 캐릭터, 전통 복장 캐릭터 심청이, 백설공주 등 고유 캐릭터명 언급 피하기

짱구 스타일 (Crayon Shin-chan 풍)


  • 프롬프트 예시
    • 자체 생성: “장난기 많은 고양이를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그려줘. 단순한 선과 밝은 색감으로 표현해줘.”
    • 기존 이미지 변환: “이 고양이 사진을 짱구 스타일의 귀여운 만화 캐릭터로 바꿔줘. 굵은 외곽선과 유쾌한 표정으로 표현해줘.”
  • 주의사항
    • ‘짱구’ 또는 ‘신짱’ 등의 고유명사 대신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 ‘일본 코믹 스타일’로 표현

픽사 스타일


  • 프롬프트 예시
    • 자체 생성: “강아지를 픽사 스타일의 3D 캐릭터로 그려줘. 부드러운 털과 감성적인 표정으로 표현해줘.”
    • 기존 이미지 변환: “이 강아지 사진을 픽사 스타일 캐릭터로 바꿔줘. 입체적인 구조와 따뜻한 조명 효과를 더해줘.”
  • 주의사항
    • ‘토이스토리’, ‘업’, ‘몬스터 주식회사’ 등 구체적인 작품명은 피하고, '픽사풍', '3D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요청

신카이 마코토 스타일

  • 프롬프트 예시
    • 자체 생성: “밤하늘에 유성이 떨어지는 장면을 신카이 마코토 스타일로 그려줘. 극사실적 하늘과 빛의 반사 효과 포함.”
    • 기존 이미지 변환: “이 풍경 사진을 신카이풍으로 바꿔줘. 감정적인 색감과 조명을 포함해, 디테일한 구름과 하늘 묘사도 넣어줘.”
  • 주의사항
    •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같은 작품명 언급은 지양. 대신 ‘극사실주의 애니메이션 스타일’ 또는 ‘신카이풍’으로 요청

심슨 스타일


  • 프롬프트 예시
    • 자체 생성: “사진관 배경에서 노부부와 성인 자녀가 포즈를 취하는 심슨풍 가족 초상화를 그려줘.”
    • 기존 이미지 변환: “이 가족사진을 미국 만화 스타일의 흑백 카툰으로 바꿔줘. 단순한 선과 코믹한 표정이 포함되게 해줘.”
  • 주의사항
    • 'The Simpsons' 직접 언급 대신 ‘심슨풍’, ‘미국 만화 스타일’, ‘노란 피부의 만화 캐릭터’ 등으로 표현

고전 디즈니 스타일

  • 프롬프트 예시
    • 자체 생성: “동양적인 분위기의 공주 캐릭터를 고전 디즈니 스타일로 표현해줘. 둥근 눈과 수채화 색감을 포함해줘.”
    • 기존 이미지 변환: “이 캐릭터 사진을 고전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바꿔줘. 동화 속 장면처럼 표현해줘.”
  • 주의사항
    • 실존 인물 또는 문화 상징성과 연결된 캐릭터 이름(예: 심청이)은 피하고 ‘전통 복장 공주’, ‘동화풍 캐릭터’로 대체

특정 작품 느낌을 살리고 싶을 때, 프롬프트를 얻는 방법

어떤 작품 스타일을 구현하고 싶지만, 콘텐츠 정책 때문에 직접적으로 언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챗GPT에게 다음과 같은 식으로 먼저 물어보세요:

“○○ 작품의 그림체나 연출 스타일의 특징이 뭐야? 어떤 키워드를 프롬프트에 넣으면 비슷한 느낌이 나올까?”

 

GPT는 그 작품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해서 색감, 선 처리, 구도, 감정 연출 방식 등을 알려주고,
그에 맞는 간접적인 프롬프트 표현도 추천해줍니다.

예를 들어, ‘너의 이름은’ 스타일을 직접 쓰는 대신


“극사실적 하늘, 빛의 반사, 감정적인 분위기의 애니메이션 배경”

 

이런 식으로 스타일의 핵심 특징을 추출해주는 방식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은 정책 위반을 피하면서도 원하는 느낌을 상당히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안전하고 똑똑한 전략입니다.

콘텐츠 정책 위반 피하는 핵심 전략

  1. 브랜드명/작품명 직접 언급 피하기
  2. '풍', '스타일'이라는 간접 표현 사용
  3. 전통 캐릭터나 문화요소는 일반화
  4. 상세한 묘사보다는 분위기 중심
  5. GPT에게 먼저 프롬프트 키워드 추천받기

스타일 프롬프트 작성은 단순한 단어 조합을 넘어,
콘텐츠 정책과 창작 의도를 동시에 고려한 전략적 언어 사용이 필요합니다.

이 글을 참고하여 지브리 외에도 다양한 스타일을 안전하게 시도해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