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두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프로필


김형두 재판관이 2025년 4월 21일부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에 선출되었습니다. 이는 문형배 전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임기 종료에 따라, 헌법재판소법에 의해 최선임 재판관이 대행직을 맡는 방식으로 결정된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김형두 재판관의 경력, 성향, 대표 판결 등을 중심으로 헌재 권한대행으로서의 무게와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김형두 재판관 한눈에 보기

항목 내용
출생 1965년 10월 17일 (전북 정읍 출생)
학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사법시험 제29회(1987년), 사법연수원 19기
군복무 공군 법무관 (중위 전역)
헌법재판관 취임일 2023년 3월 31일
소장 권한대행 시작일 2025년 4월 21일
헌법재판관 임기 만료 예정일 2029년 3월 30일

주요 이력 및 보직

김형두 재판관은 국내 사법부 요직을 두루 거친 인물입니다. 도쿄대학,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각각 도산법과 비교법을 연구한 바 있으며,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법원행정처 차장을 역임했습니다.

그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특허법원, 서울고등법원 등 핵심 법원에서 부장판사로 일하며 굵직한 형사·민사 사건을 맡아왔습니다. 2023년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며 사법체계 내에서도 중추적인 위치에 올랐습니다.

판결 성향과 결정

김형두 재판관은 일반적으로 중도보수적 시각을 가진 판사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사건에서 핵심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헌정 질서 위반에 대한 엄정한 판단
  • 대북전단금지법 위헌 결정: 표현의 자유 중시
  • 국가보안법 찬양·고무죄 합헌: 국가안보의 법적 보호 강조
  • 종합부동산세 중과세 합헌: 조세 형평성 고려
  • 에이즈 감염인 처벌 조항 합헌: 공공보건의 합리성 인정
  • 동성 군인 성행위 처벌 합헌: 군 기강의 특수성 고려

이는 그가 특정 이념보다는 사안별 헌법 원칙에 따라 유연하게 판단하는 인물임을 보여줍니다.

인간적인 면모

김형두 재판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을 언급하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연대의식을 드러냈습니다. 매주 아들과 함께 등산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에피소드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 가족사로 기억됩니다.

그는 기자들의 질문에도 적극 응답하며, 신중하면서도 소통에 열려 있는 성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헌재 권한대행의 역할과 의미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헌법재판소의 수장을 대신하여 중요한 결정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중요 사건의 회의 주재 및 심리 이끌기
  • 헌재 구성의 안정성과 연속성 유지
  • 대통령 탄핵, 권한쟁의, 위헌법률심판 등 중대 사안의 공정한 판단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헌재 권한대행의 무게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김형두 권한대행은 사법 경험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헌법재판소의 중심을 잡는 중대한 책무를 맡게 된 셈입니다.

김형두 권한대행은 치열한 사법현장을 거쳐온 엘리트이자, 따뜻한 감성을 지닌 한 명의 아버지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의 중도적 판단과 책임감 있는 행보는 향후 헌법재판소의 운영에 있어서도 중요한 나침반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