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의 바람이 부는 5월, 전라남도 담양에서는 해마다 대나무의 고장답게 '담양 대나무축제'가 성대하게 펼쳐집니다. 자연, 전통, 예술, 체험이 어우러지는 이 축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봄맞이 문화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담양의 대표 관광지인 죽녹원을 무대로 한 프로그램들이 많아, 힐링과 재미를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담양 대나무축제 공식 홈페이지
광주송정으로 가는 KTX 예매
2025 곡성 세계장미축제 정보 알아보기
축제 개요 및 기본 정보
담양 대나무축제는 대나무를 소재로 한 문화 콘텐츠를 통해 지역의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축제입니다. 특히 올해는 "체류형 야간축제"로 기획되어 낮과 밤 모두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축제명: 제24회 담양 대나무축제
- 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6일(화)
- 장소: 전라남도 담양군 죽녹원 및 관방제림 일대
- 주최/주관: 담양군, (사)담양대나무축제위원회
- 입장료: 축제장 무료 / 죽녹원 3,000원 (환급형 상품권 제공)
- 문의처: 061-380-3152
주요 행사 및 프로그램
축제 기간 동안 펼쳐지는 공식 무대 프로그램과 각종 체험, 전시가 풍성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대표 프로그램
- 개막식 및 공연:
- 5월 2일 전남도립대학교 주차장
- 이찬원, 지창민 등 인기 가수 축하공연
- 드론 라이트쇼
- 체험/전시 프로그램:
- 대나무 공예 체험
- 죽순요리 경연
- 죽신제
- 대나무 활쏘기, 뗏목 체험, 물총 만들기
- 플리마켓·포토존·네컷사진기
- 어린이날 특별 행사 (5월 5일)
- 드론 제작 체험 (70명 선착순 대나무 드론 증정)
- 베베핀 공연, 마술쇼, 댄스 페스티벌
- 폐막 행사 (5월 6일)
- 대나무 앙상블 음악회
- 한국국악협회 전통 국악 공연
야간 프로그램 운영
체류형 축제로 탈바꿈하면서 야간에도 풍성한 즐길 거리가 제공됩니다.
죽녹원 야간 무료 개장과 조명 장식이 축제의 낭만을 더해줍니다.
- 운영 시간: 오후 6시 ~ 오후 9시
- 주요 프로그램: 야간 경관 조명, 버스킹 공연, 대나무 정원 야경
교통 및 주차 안내
주말과 연휴를 맞아 많은 인파가 예상되는 만큼, 교통편과 주차장 정보를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주차장 정보
구분 | 면수 | 비고 |
---|---|---|
전남도립대학교 주차장 | 300면 | 공연 및 개막식 인근 |
죽녹원 정문/후문 주차장 | 각 200면 | 축제장 바로 연결 |
관방제림 주차장 | 220면 | 축제장 도보 5분 거리 |
담빛창고 주차장 | 350면 | 먹거리존 접근 용이 |
임시 공영주차장 | 1,000면 이상 | 셔틀버스 연계 |
대중교통 이용 팁
- KTX/SRT 이용: 광주송정역 하차 → 담양행 버스
- 시외버스: 서울 센트럴시티터미널 → 담양
- 시내버스: 광주 유스퀘어 311번 / 대인광장 322번
- 셔틀버스: 담양터미널 ↔ 죽녹원 구간 상시 운행
광주송정으로 가는 KTX 예매
담양으로 가는 고속버스 예매
담양 대표 먹거리
축제장 내에는 지역 특산품을 활용한 다양한 먹거리 부스가 마련됩니다.
- 담양 한우 구이
- 떡갈비
- 대나무밥
- 죽순 무침/볶음
- 대통주 시음존
- 디저트 판매존 (빙수, 대잎 소프트크림 등)
죽녹원 입장 및 이용 정보
죽녹원은 담양 대나무축제의 핵심 무대입니다. 입장 시 환급형 상품권을 지급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비용 부담도 적습니다.
- 입장료: 성인 3,000원, 청소년 1,500원, 어린이 1,000원
- 운영 시간: 09:00 ~ 19:00 (입장마감 18:00)
- 무료 입장 대상: 담양군민, 65세 이상, 장애인 등
담양 대나무축제 꿀팁 요약
- 일찍 출발하면 주차 걱정 없이 관람 가능
- 야간 개장 적극 활용! 분위기 있는 밤 산책 추천
- 죽녹원 정문보다 후문이 비교적 한산함
- 먹거리 부스 다회용기 제공, 환경까지 고려한 축제
- 죽녹원-메타세쿼이아길 연계 여행 추천